메뉴 건너뛰기

SCROLL TO TOP

4_509Ud018svc1deyusv6x1nxn_tay893 (1).jpg

제목: 믿음이 연약한 자를 너희가 받되 그의 의견을 비판하지 말라

본문; 로마서 14:1-12

[롬 14:1-12] 믿음이 연약한 자를 너희가 받되 그의 의견을 비판하지 말라 2 어떤 사람은 모든 것을 먹을 만한 믿음이 있고 믿음이 연약한 자는 채소만 먹느니라 3 먹는 자는 먹지 않는 자를 업신여기지 말고 먹지 않는 자는 먹는 자를 비판하지 말라 이는 하나님이 그를 받으셨음이라4 남의 하인을 비판하는 너는 누구냐 그가 서 있는 것이나 넘어지는 것이 자기 주인에게 있으매 그가 세움을 받으리니 이는 그를 세우시는 권능이 주께 있음이라 5 어떤 사람은 이 날을 저 날보다 낫게 여기고 어떤 사람은 모든 날을 같게 여기나니 각각 자기 마음으로 확정할지니라 6 날을 중히 여기는 자도 주를 위하여 중히 여기고 먹는 자도 주를 위하여 먹으니 이는 하나님께 감사함이요 먹지 않는 자도 주를 위하여 먹지아니하며 하나님께 감사하느니라 7 우리 중에 누구든지 자기를 위하여 사는 자가 없고 자기를 위하여 죽는 자도 없도다 8 우리가 살아도 주를 위하여 살고 죽어도 주를 위하여 죽나니 그러므로 사나 죽으나 우리가 주의 것이로다 9 이를 위하여 그리스도께서 죽었다가 다시 살아나셨으니 곧 죽은 자와 산 자의 주가 되려 하심이라 10 네가 어찌하여 네 형제를 비판하느냐 어찌하여 네 형제를 업신여기느냐 우리가 다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서리라 11 기록되었으되 주께서 이르시되 내가 살았노니 모든 무릎이 내게 꿇을 것이요 모든 혀가 하나님께 자백하리라 하였느니라 12 이러므로 우리 각 사람이 자기 일을 하나님께 직고하리라

로마 교회 안에 전혀 다른 두 삶의 스타일, 전혀 다른 두 견해들이 있었습니다. 바울은 이 두 개의 그룹을 ‘약한 자’와 ‘강한 자’라고 표현했습니다. 약한 자란 믿음이 약한 자들을 말하는 것이고 강한 자란 믿음이 강한 자들을 말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 공동체 내에는 이 두 그룹 사이에 부딪힘이 있습니다. 초원의 사자가 무너지는 것은 외부의 어떤 적으로부터의 공격때문에 아니라, 병들었다던지 하는 자기 안의 문제때문에 무너진다고 합니다. 교회도 마찬가지입니다. 외부의 핍박자나 압제자들에 의해서 무너지는 것이 아니라, 교회 안에서 일어나는 갈등으로 인해서 교회는 자체분열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교회 내의 다양성이 교회를 분열시키는 것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로마서 14장은 정말 중요한 장입니다. 우리가 14장을 잘 이해한다면, 공동체 안에 있는 다양한 견해를 어떻게 대하면서 살아야 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교회가 다양성 가운데 통일성(unity in diversity)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바울은 이 중요한 주제를 두고 이렇게 그의 권면을 시작합니다. “믿음이 연약한 자를 너희가 받되 그의 의견을 비판하지 말라(1절)”

바울은 먼저 ‘강한 자’에게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믿음이 연약한 자를 너희가 용납하고, 그가 의심하는 바를 비판하지 말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교회 내에 믿음이 강한 자와 약한 자가 서로 이런 갈등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믿음이 약한 자는 상대방의 믿음을 의심했습니다. 그렇게 되니 상대방은 그 의심하는 자를 역으로 비판했습니다. 이렇게 서로 의심하고 비판하는 악순환의 갈등이 반복되면서 서로 싸우게 되었던 것입니다. 이것은 오늘의 교회 안에서도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로마 교회는 무엇 때문에 싸웠을까?”라는 궁금증이 생길 것입니다. 첫번째 심각한 갈등은 음식법 때문이었습니다. 로마교회의 구성원을 두 부류(flock)로 나눌 수 있었습니다. 첫째는 유대교에서 회심한 유대교출신 그리스도인들이었고, 둘째는 이방인 출신의 그리스도인들이었습니다. 물론 이방인출신의 수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았습니다. 유대인들은 강한 선민의식이 있었고 그들이 철저하게‘음식’을 구분해서 먹었습니다. 예를 들자면 레위기에 기록된대로 돼지고기와 같은 부정한 음식은 먹지 않았습니다(레 11:1-8, 46-47). 결국 규례에 따라 이것저것을 다 따지다 보면 결국 먹을 것이 식물 밖에 없게 되니, 유대교 출신자들은 식물만 먹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에반하여, 이방인출신자들은 모든 것을 가리지 않고 다 먹었던 것 같습니다. 돼지고기는 물론이고 이방 성전에 제사 드려진 것까지도 가리지않고 다 먹었던 것 같습니다. 그것을 보고 채식주의자들은 ‘아, 정말 너무 역겹다, 어떻게 믿음의 형제가 저런 걸 먹을 수 있는가? 저자가 정말 하나님을 믿는 거야?”라고 돼지고기 먹는 자의 믿음을 의심했던 것입니다. 그렇게 되니 돼지고기를 먹는 사람은 ‘아, 참 이상한 사람도 다있네. 그것도 먹을 수 있는 믿음이 없는가? 그렇게 믿음이 약한가?’라고 채식주의자들을 비판했던 것입니다. 그리고 편협하고 답답한 신앙을 한다고 그들을 공격했던 것입니다. 한 쪽은 의심하고, 다른 한 쪽은 비판했던 것입니다.

유대인은 자기 신앙의 엄격한 율법과 규례가 있었고 모든 것을 다 구별했습니다. 바울은 이러한 사람들을 ‘약한 자’라고 칭했습니다. 그리고 다른 한 쪽의 자유로운 이방인 그룹을 ‘강한 자’라고 봤습니다. 이는 사도의 깊은 생각에서 우러나온 말입니다. 이 약한 자는 강한 자가 성스러운 것을 구별하지 않으니 그의 신앙이 진짜가 아니라고 의심했고, 강한 자는 약한 자를 쩨쩨하고 옹졸하다고 비판했습니다. 바울은 이 두 그룹의 사람들에게 ‘약한 자여, 강한 자를 업신여기지 말라(의심하지 말라). 강한 자여, 약한 자를 판단하지 말라(비판하지 말라)’라고 했습니다. 바울은 어느 한쪽 편을 들지 않았습니다. 사도가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에 있는 너무나 두껍고 높은 벽을 허물고 하나 되게 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몸부림 쳐왔던 것을 우리는 그동안 계속 보아왔습니다.

[마 7:1-2] 비판을 받지 아니하려거든 비판하지 말라 2 너희가 비판하는 그 비판으로 너희가 비판을 받을 것이요 너희가 헤아리는 그 헤아림으로 너희가 헤아림을 받을 것이니라(마 7:1-2).

예수님께서는 형제를 비판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 복음의 정신은 남의 문제를 끄집어내어 남을 해치고 의심하고 비판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반대로 복음의 정신은 ‘화목’입니다.

“네가 어찌하여 네 형제를 비판하느냐 어찌하여 네 형제를 업신여기느냐 우리가 다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서리라(10절)”

형제를 비판하고 업신여긴 것들이 다 하나님 앞에서 심판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부드러운 마음과 사랑의 마음으로 살아야 합니다. 형제를 업신여기지도말고 비판하지 말아야 합니다. 하나님의 심판이 있다는 깨달음과 그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살아야 합니다. 그리고 서로를 용납하여 아름다운 그리스도의 공동체를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복음 #매일큐티 #은혜로운말씀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