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SCROLL TO TOP

49865400625.20240820091409.jpg

 

우리는 종종 공부하기 힘든 상황 속에서도 성공적으로 해내는 사 람, 빚더미에 앉았지만 좌절을 딛고 다시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습니다. 이처럼 좌절이나 상실, 위험 속에서도 목표를 향해 나아가 게 해주고 문제를 해결하게 도와주는 힘은 ‘마음의 힘’입니다. 내가 내 마음을 조절할 줄 알고, 건강한 마음을 갖고 있어야 공부를 잘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그 마음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인생을 살면서 상황은 끊임없이 변합니다. 부모가 아이의 모든 실 패와 불안을 막아줄 수 없습니다. 마음 독립이란 아이에게 좌절, 실패, 불안도 잘 헤쳐나갈 힘을 주는 것입니다. 인생에서 행복한 순간 인생의 성공을 결정짓는 마음 독립 을 많이 찾고, 힘든 순간도 극복할 수 있는 힘 말입니다.

 

저는 지금부터 마음 독립을 위한 5가지 마음에 대해 말할 것입니다. ‘자 존감, 자율성, 감정조절력, 긍정성, 끈기, 다섯 가지 마음을 하나로 모 으면 마음 독립, 마음 독립!’ 이렇게 바꿔서 노래를 부른다고 생각하 고 읽어보세요. 아이가 5가지 마음의 힘을 갖기 위해 부모가 해줄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마음 독립을 위한 첫 번째, 자존감>

 

자존감의 사전적 정의는 입니다. 쉽게 말해 ‘내가 나를 어떻게 생각하느냐’이죠. 다른 사람들이 나를 어떻게 보는지가 아니라 내가 나를 어떻게 보는지의 문제가 자존감입니다. 아이는 부모와 자신을 분리시키기가 힘듭니다. ‘내가 나를 어떻게 생 각하느냐’는 ‘부모가 나를 어떻게 생각하느냐’와 같은 말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어릴수록, 부모가 자녀를 바라보는 시선은 아이가 자기 자신 을 바라보는 시선에 정말 많은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습니다. 커가면서 타인에게 평가 받을 일이 많아지는 건 필연적입니다. 꼭 누가 평가하지 않아도 아이 스스로 비교하는 일도 많아질 테고요. 부모 역 시 옆집 아이와 우리 아이의 성취를 비교하는 일이 늘어나면서 내 아이 의 성취를 마치 부모 자신의 자존감처럼 느끼고, 아이에게 더 많은 성취 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아무리 시험이 없어졌다지만 학교에 들어가면 아이는 끊임없이 또래 친구와 비교할 일이 생깁니다. 수업 시간에 옆에 있는 친구는 잘하는데 나는 못하는 상황을 겪고, 친구 관계에서 원하는 대로 되지 않기도 하면 서 실패하고 좌절할 일이 수도 없이 일어납니다. ‘좌절’과 ‘비교’가 난무 하는 상황 속에서 자존감을 지키는 것은 꽤 힘든 일일 수 있습니다.

 

그럼 우리 아이의 자존감을 위해 부모는 무엇을 해주어야 할까요? 이 뒤로 나오는 4가지 마음의 힘은 모두 자존감과 밀접하지만 자존 감만을 놓고 봤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수용’입니다. ‘수용’은 아이를 온전히 인정하고 받아들인다는 것입니다. 믿는다는 뜻이기도 하죠. 잔 소리가 많거나 기회를 주지 않는 것은 내 아이를 믿지 않는다는 하나의 증거입니다. 그렇다고 잘못된 행동까지 모두 오냐오냐 하라는 것은 아 닙니다. 아이가 눈치 보지 않고 마음껏 시행착오를 겪을 수 있게 기회 를 주고 필요할 때 적절한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물론 아이가 커갈수록 객관적인 성취도 요구됩니다. 초등학교에 들 어가면 부모가 단순히 오냐오냐 해준다고 자존감이 높아지지 않습니 다. 내가 스스로 인정할 만한 성취, 내가 점점 나아지고 있다는 것을 느 끼는 성취가 필요합니다. 이때는 우리 아이가 객관적인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도움의 사다리를 놓아주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